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VOD 동영상방/시사문화과학다큐

KBS1-TV 수요기획 〈웰빙 사회학, 나눔의 행복〉

by 바로요거 2007. 12. 26.

KBS1-TV 수요기획 〈웰빙 사회학, 나눔의 행복〉 방영: 2004년 4월 28일(수) 밤 12시
 
요즈음 한국사회 전반에 걸쳐 불고 있는 웰빙 바람으로 우리의 생활패턴이 큰 변화를 맞고 있다. 그럼에도 적잖은 사람들은 웰빙을 추구함에 있어 단지 먹거리나 주택의 문제를 개선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
만일 자신의 삶 자체가 이기심과 불평심에 잔뜩 절어있다면 아무리 쾌적한 환경에서 최고의 건강식을 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수요기획 <웰빙 사회학, 나눔의 행복>은 자발적인 봉사로 인한 심신의 변화를 과학적 실험을 통해 입증하고자 기획되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참된 웰빙이란 무엇인가를 다함께 생각해보자.

(이하 방송원문 발췌)
 
 
‘나눔’과 ‘건강’은 어떤 함수관계가 있는가
테레사 수녀(1910∼1997)는 인도의 빈민가에서 여든 일곱까지 살았다. 전염병이 무성한 열대우림 아프리카에서 슈바이처 박사(1875∼1965)는 아흔 살을 살았다. 한국 8만여 입양아의 대모 바서 홀트 여사(1904∼2000)는 2000년 아흔 여섯 나이로 한국 땅에 묻혔다. 아흔 살까지 살았던 나이팅게일(1620∼1910)까지 그들의 건강하고 긴 생애는 단지 우연의 일치일까? 분명하게 일치하는 것은 이들은 모두 세상 가장 낮은 자세로 허리 숙여 살아온 사람들이다. (중략)
 
“사람이 좋은 공기 쐬고 좋은 물을 마시고 좋은 음식을 먹는 것도 건강에 굉장히 좋은 요소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런 선행을 한다든지 선행을 하는 사람을 바라보고 있으면 그야말로 정신적인 엔돌핀이 나오는 것 같아요.” (박원순 / 아름다운 재단 이사장)
 
우리는 많은 사람이 확신하는 나눔과 건강과의 함수관계에 대해 과학적인 증명을 시도했다. 그것은 테레사나 슈바이처, 나이팅게일의 장수 비결에 대한 기초적 접근이자 천사병원 환자들의 유난히 빠른 치료속도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함이다.
타액으로 분비되는 여러 가지 성분 중에는 우리 몸 안으로 바이러스 침투를 막는 이미노글로블린A가 포함되어 있다. 바로 그 이미노글로블린A의 농도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미노글로블린 A는 인체에 어떤 역할을 하는 물질일까? 우리 몸 안의 항체는 이미노글로브린 G, D, E, A, M이다. 그런데 혈액 속에서 활동하는 다른 항체와는 달리 땀과 침, 눈물에서 분비되는 항체가 이미노글로블린A. 다시 말해 몸 안의 세균감염을 막아주는 1차 방어선이다.
 
 


‘나누는 삶’을 보는 것만으로도 건강해진다
실험그룹은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자원봉사 동아리학생 15명. 그리고 자원봉사 경험이 전혀 없는 대학생 15명으로 각각 나누었다. 서른 명 학생의 타액 채취가 마무리되면서 본격적인 실험에 들어갔다.
 
학생들에게 상영된 영상물은 테레사 수녀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여든 일곱 죽는 그날까지 국경과 인종을 뛰어넘는 진정한 나눔의 삶을 살았던, 결국 환자들을 돌보다 말라리아에 감염되어 생을 마감한 그녀의 삶이 한 시간 동안 영상 위에 펼쳐졌다.
 
영화상영 후 다시 한 번 5분간에 걸쳐 타액채취에 들어갔다. 분석결과, 실험에 참가한 학생들의 타액 속 이미노글로블린A의 양은 일제히 증가했다. 자원봉사 경험이 전혀 없는 학생들도 대부분 침 속의 이미노글로블린A의 양이 증가했다. 다큐멘터리 시청 전 평군 114.92 나노그램이었던 이미노글로블린A의 양은 시청 후 165.71로 올랐다. 더욱 주목할만한 결과는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는 점이다.
 
하버드대학의 데이비드 맥클레런 교수는 일찍이 이런 효과를 ‘테레사 효과’라 이름 붙였다. 실험을 통해 테레사 수녀의 일대기를 본 학생들의 이미노글로블린A가 크게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테레사 효과였다.
 
“테레사 효과나 나의 연구에서도 돕는 것은 우리 인생에서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중요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아냈어요.” (앨런 룩스 / 빅브라더스 빅시스터스 대표)
 
 
‘나눔’은 면역능력을 강화시킨다
나누는 삶을 보는 것만으로도 건강해진다면, 과연 직접 자원봉사를 할 때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 것인가? 대상자 그룹은 자발적으로 자원봉사를 나온 사람들과 자원봉사 의료진, 그리고 학교에서 벌칙으로 자원봉사 명령을 받고 나온 여고생들이다.
 
자원봉사 직전과 한 시간동안 자원봉사를 하고 난 후의 타액을 비교해 본 결과, 자발적으로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의 타액에서 면역항체인 이미노글로블린A는 일제히 증가했다. 수술을 집도한 의사들의 면역능력은 오히려 감소했다. 수술이 주는 고도의 긴장감과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었다. 여고생들 역시 면역능력이 감소했다. 자발성이 아닌 강제성이 이유인 듯 했다.
 
“실질적으로 저희가 측정한 것은 항체를 측정한 것이지만 실질적으로 더 중요한 것은 우리 몸에 있는 자연살해세포라든지 대식세포라든지 T임파구라든지 이런 중요한 기능을 하는 세포들도 실질적으로는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김태규 교수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과)
 
 

(위 사진)자발적으로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의 타액에서 면역항체인 이미노글로블린A가 일제히 증가했다. 또한 남에게 도움을 준 노인부부의 사망위험율은 도움을 받은 경우보다 더 낮았고, 고립된 노인들에 비해 두 배 이상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나눔’은 수명을 연장시킨다
자원봉사로 인한 생물학적 변화는 현재로서는 체내 면역시스템이 강화된다는 것 외에는 밝혀진 바가 없다. 그러나 미국 미시건대학의 최근 연구결과는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준다. 심리학 박사 스테파니 브라운 교수가 지난해 심리과학지에 발표한 연구결과는, 나눔의 보이지 않는 힘이 단순한 면역능력의 증가만으로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스테파니 브라운 박사는 노인부부 423쌍을 10년 동안 지켜본 결과, 도움을 받는 노인에 비해 도움을 주는 노인부부가 더 오래 살 확률이 두 배 이상 높다는 것을 알았다. 남에게 도움을 준 노인부부의 사망위험율은 도움을 받은 경우보다 더 낮았고, 고립된 노인들에 비해 두 배 이상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무엇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걸까?
 
“한 가지 가능성은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사람의 정신적 경험이 어떤 식으로든 스트레스로부터 보호를 받고 완충작용을 하는 것입니다. 긍정적인 감정이 심장혈관계를 스트레스로부터 빠르게 회복시켜 준다는 것을 알았어요. 또 다른 가능성은 도움을 주는 사람을 보호하는 호르몬과 관계 있어요. 예를 들어서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은 자연에 존재하는 것으로 우리 몸을 치료하는 에너지를 만들어내고, 영양분을 축적하고, 성장하게 하는 것입니다.” (테파니 브라운 교수 / 미시건대 사회심리학과)
 
분명한 것은 남을 돕기 위해 자신의 힘을 나눔으로서 느끼는 기쁨과 만족은 단순한 기분으로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눔은 나누는 사람에게 면역능력의 강화에서부터 수명연장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행복을 안겨줄 수 있음이 밝혀졌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자원봉사자는 32만여 명. 보이는 곳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서 그들은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그들에게는 뜻하지 않는 신의 선물이 있다. 테레사 수녀, 슈바이처 박사가 그랬던 것처럼 그들의 삶은 웰빙의 문턱에 한 걸음 더 다가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