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증산도JeungSanDo/증산도 커뮤니티

우주의 가을이 오고 있다!-서울신문 기사내용

by 바로요거 2007. 10. 3.
[토요일 아침에] 우주의 가을이 오고 있다/최미숙 증산도 부산당리도장 수호사
[서울신문 2005-12-17 11:27]
[서울신문]며칠 전 대전에서 열린 개벽문화한마당이란 행사에 참여하였다. 전국적인 행사였는데 폭설로 인해 몇몇 지역에서는 제대로 참석지 못했다. 따뜻한 남쪽에서 사는 필자로선 눈이라면 즐겁기만 한데. 눈 소식에 달력을 보니 역시나 대설(大雪)이 들어 있다. 큰눈이 내리는 절기인.

1년을 24마디로 나눈 것이 24절기인데 이는 약 15일을 주기로 온다. 예부터 절기는 농어민을 비롯한 많은 이들의 생업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태양과 달과 지구가 서로 회전하면서 이루는 위치에 따라 기후가 변하고 조수 간만의 차가 생기기 때문이다.

24절기 중 처음인 동지는 밤이 가장 긴 날이지만 이날을 기점으로 다시 낮이 길어지기 시작하므로 태양이 부활하는 날이라 하여 많은 민족들이 설날을 삼기도 하였고 태양신 축제를 벌이기도 하였다. 크리스마스 또한 로마인의 태양신 축제일에서 비롯되었다는 기록이다.

해마다 곡우를 전후해서 비가 내리는데 이는 대지의 씨앗을 불리는 작용을 한다. 이때 흥미로운 것은 민가에서도 곡우가 되면 볍씨를 불려서 대문 안쪽에 두는데, 집으로 들어올 때는 반드시 몸가짐을 바로 하고 잘못한 일은 뉘우치고 들어와야 된다고 한다. 그러지 않으면 부정을 타서 싹이 잘 트지 않고 한해 농사를 망친다는 것이다.

소만 망종은 씨를 뿌리는 때요,8월 하순의 처서부터는 더 이상 자라지 않고 여물기 시작한다. 그리고 열매가 더욱 실해져서 마침내 서리내리는 상강이 되면 모든 수확을 마무리짓는다. 입동 소설 대설이 지나면 일양(一陽)이 시생하는 동지가 다시 시작되는데, 천체의 운동과 더불어 동지로부터 한 해가 시작되는 것이다.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돌면 1년이다.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돌면 1달이요, 또한 지구가 스스로 한 바퀴를 돌면 1일이 되는 것이다. 태양과 달과 지구는 마치 다정한 한 가족처럼 무구한 세월동안 한 치의 오차도 없이 끊임없이 돌고 또 돌며 시간을 만들어 내고 있다. 고금의 씨줄인 시간의 흐름 속에서 우리는 어떤 아픔도 잊고 치유 받으며 살아간다.

필자는 여기서 우리가 지금까지 전혀 생각해 보지 못했던 또 다른 주기를 얘기하고자 한다. 지금으로부터 약 1000년전 중국 송나라에 소강절이란 불세출의 대 철인이 있었다. 그는 천지 일월성신 즉, 하늘과 땅과 해와 달과 항성과 행성들의 변화를 관찰하고, 또한 약 6000년 전 태호 복희씨로부터 공자에 이르기까지의 역을 바탕으로 하여 감히 상상하기도 어려운 큰 주기를 발견하게 되었다.

상제님께서는 “알음은 강절의 지식에 있나니”라고 하심으로써 그의 지식을 인정해 주셨다. 그 스스로도 이 천지안의 모든 일을 다 알았노라고 오도시를 읊기도 하였다. 강절 선생이 밝힌 주기를 1원(元)이라 한다.1원은 129600년이다.1년에 12달이 있듯,1원에는 12회(會)가 있다. 또한 1달에 30일이 있듯 1회에 30운(運)이 있다. 지구 1년과 꼭 닮은 이 거대한 주기를 우주 1년이라 이름한다. 지구의 1년이 초목이 싹트고 열매맺는 주기라면, 우주의 1년인간과 인간 문명이 씨 뿌려지고 열매 맺는 틀이다.

따라서 인간 농사짓는 우주 1년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면 인간존재의 의미와 목적 또한 알 수 있지 않을까?

1000여년 전에 씌어진 소강절선생의 황극경세서에 의하면 지금은 우주 1년 중에서도 여름에서 가을로 접어드는 시점이라 한다. 즉 우주의 가을이 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상극(相克)을 넘어 상생(相生)의 성숙된 문명이 열린다는 말이다.

요즘 말이 많기는 하지만 줄기세포니 나노 문명이니 각종 웰빙문화들이 마치 가을 문명의 전령사처럼 우리 생활 곳곳에 꽃피고 있다. 성현들이 그러하셨듯이 몸을 낯추고 겸허히 세상을 바라보노라면, 더운 여름날 아침저녁으로 불어오는 서늘한 바람에 가을을 느끼듯, 이 치열하고 복잡한 문명 속에서도 가을 선경(仙境)의 아름다운 희망을 분명 볼 수 있을 것이다.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원문 보기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81&article_id=0000070451§ion_id=110&menu_id=110

 

서울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